🐝 스코프(Scope)스코프란 어떤 변수에 접근할 수 있는 범위를 의미합니다.스코프의 종류는 아래와 같습니다.전역(global) 스코프: 어디서나 해당 변수에 접근 가능지역(local) 스코프: 한정적인 범위 내에서만 해당 변수에 접근 가능블록 스코프함수 스코프 🐝 블록 스코프블록 스코프란 중괄호로 둘러싸인 { 블록 } 내부에서 선언된 변수는 해당 블록 안에서만 호출 가능한 것을 의미합니다.ES6 이후에 등장한 let과 const를 이용하여 선언한 변수가 블록 스코프의 개념을 따릅니다.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은 코드가 있을 때{ let test = 'block scope'; console.log(test); // 블록 내부에서 접근👍}console.log(test); // !블록 외부에서 접근👎블..
🌳 정의DOM이란 Document Object Model의 약자로 문서 객체 모델을 의미합니다.한 마디로 웹 페이지에 나타나는 html 문서 전체를 객체로 표현한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DOM에서의 객체는 '노드(node)'라고 불리며html 태그 = 요소(element) 노드태그를 제외한 문자 = 텍스트(text) 노드주석 = 주석(element) 노드로 구성됩니다. 따라서 DOM을 활용하면 자바스크립트로 html 태그를 객체처럼 다룰 수 있게 됩니다. 🌳 DOM 트리html은 태그들이 계층을 이루고 있습니다.그리고 이 계층 구조는 DOM에서도 반영되며 이를 DOM 트리라고 합니다.DOM 트리는 노드로 구성되어 있으며 노드들은 서로 부모/형제/자식의 관계를 가집니다.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은 코..
🌱 정의 객체란?키(key) : 값(value)의 형태로 이루어진 값들의 집합객체 안에 존재하는 키:값 형태의 쌍 전체를 프로퍼티(property, 속성)이라고 부릅니다. 🌱 생성 객체는 두 가지 방법으로 생성할 수 있습니다. 방법 1) 생성자(new 키워드)를 사용방법 2) 리터럴을 사용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은 코드가 있을 때// 방법 1) 생성자let object1 = new Object();// 방법 2) 리터럴let object2 = { name: "emma", age: 1004,};방법 1은 생성자를 활용한 방법으로 일단 빈 객체를 선언한 뒤에 필요한 프로퍼티를 추가합니다.방법 2는 {key:value} 형식으로 객체 생성과 동시에 프로퍼티를 할당합니다. 🌱 접근 객체는 두 가지..
🌱 Truthy란?참 같은 값으로 Boolean 적용 시 true가 반환되는 값입니다.Boolean(truthy_value) = true; 반대되는 개념인 falsy가 아닌 모든 값이 해당됩니다. 🌱 Falsy란?거짓 같은 값으로 Boolean 적용 시 false가 반환되는 값입니다.Boolean(falsy_value) = false;아래의 7가지 값들이 해당됩니다.let f1 = undefined;let f2 = null;let f3 = 0;let f4 = -0;let f5 = NaN; // Not a Numberlet f6 = ""; // 빈 문자열let f7 = 0n; // Big Integer참고로 [빈 배열], {빈 객체}는 truthy 값입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