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에 글을 올리면 깃허브에도 잔디가 심어지도록 RSS와 Github Actions를 사용해 연동해보도록 하겠습니다. 🖇️ 준비하기1) 티스토리 RSS 설정'블로그 관리 페이지 - 관리 탭 - 블로그 항목'에서 기타 설정을 사진과 같이 변경해줍니다.잘 설정되었다면 '자신의_블로그_주소/rss'로 접속 시 다음과 같은 화면이 보입니다.ex) https://dev-district.tistory.com/rss 2) 깃허브 레포지토리 클론하기깃허브에서 README.md 파일이 있는 폴더를 클론해옵니다.선호하는 방법으로 클론해 오면 되며, 개인적으로 SSH 방식을 추천합니다. (참고 링크)VSCode에서 클론해 온 폴더를 열어 연동할 준비를 마칩니다. 🖇️ Github Action 파일 작성하기(로컬에서..
🌱 설치 및 연동하기1) 크롬에서 확장 프로그램 설치크롬 웹 스토어에서 '백준허브(BaekjoonHub)'라는 이름의 확장 프로그램을 설치해줍니다. 2) 깃허브 레포지토리 생성내 깃허브에서 코드를 저장할 새로운 레포지토리를 자유롭게 생성해줍니다.저는 'Programmers_Problem_Solving'이라는 이름으로 생성하였습니다. 3) 깃허브 연동하기페이지 오른쪽 상단에 위치한 퍼즐 아이콘(확장 프로그램 목록 보기)을 눌러 '백준허브' 프로그램을 클릭합니다.'Authenticate'를 클릭하여 인증을 완료합니다. 4) 레포지토리 연결하기2번 과정에서 레포지토리를 미리 만들어두었으니 'Link an Existing Repository'라는 옵션을 선택하고,레포지토리 이름을 입력한 뒤 'Get Start..
🐝 브랜치 전략여러 개발자가 하나의 저장소를 사용하는 환경에서 해당 저장소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work-flow(작업 흐름)- 참조 블로그 아래는 깃 플로우를 검색하면 나오는 가장 대표적인 이미지입니다.깃 플로우에는 5가지의 브랜치 종류가 존재하며 개발의 목적에 따라 사용하게 됩니다.main(master): 실제로 제품이 출시되는 주 브랜치develop: 다음에 출시할 버전을 개발하는 주 브랜치feature: 추가적인 기능을 개발하는 보조 브랜치, develop 브랜치에 포함됨release: 이번에 출시할 버전을 준비하는 보조 브랜치, develop 브랜치에서 개발한 내용을 해당 브랜치로 옮겨와 QA 및 테스트를 진행함hotfix: 출시된 버전(main 브랜치)에서 발생한 버그를 수정하는 보조 ..
👾 Merge Commit(3-way merge)두 브랜치의 변경 사항(history)을 모두 유지하며 메인 브랜치에 다른 브랜치를 병합(merge)합니다.이 경우 각 브랜치의 변경 사항들이 과거의 커밋으로 보존되며,병합 시 메인 브랜치에 새로운 'merge commit'이 추가되며 병합이 완료됩니다.feature 브랜치의 가장 최근 커밋이 메인 브랜치로 병합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아래의 그림과 같이 3개의 커밋을 고려하여 병합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3-way라는 이름이 붙여졌습니다.1번은 두 브랜치의 공통 조상이 되는 커밋,2번은 분기된 브랜치가 가리키고 있는 커밋,3번은 다른 브랜치가 가리키고 있는 커밋입니다. 장점프로젝트의 진행 상황을 명확히 추적할 수 있음브랜치 별 변경 사항이 유지되므로 커..